12월, 2019의 게시물 표시

[Paper Review] Dynamic of Changes in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Bedrooms

이미지
new 주요 내용 본 논문은 침실에서 수면시 실내 공기질에 관한 연구를 살펴 보았습니다. 사람의 성별, 인원수와 환기율을 변수로 설정하고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유체역학) 시뮬레이션을 통해 공기질의 변화을 살펴보고, 실제로 측정을 통해 모델을 검증했습니다. CFD 시뮬레이션 결과와 측정결과를 제시하는데, 높은 수준의 이산화탄소 농도(3000ppm 이상)는 테스트가 이루어진 침실에서 부적절한 환기 방법과 공기 질이 좋지 않음을 의미하며, 이러한 상황의 원인으로 최근의 에너지 효율을 고려한 건축법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기계식 환기장치가 적용되지 않은 건물의 경우 적절한 창문을 통한 환기를 할 것이 필요하다고 제시했습니다. Opinion 일반 가정에서 나타나는 실내공기질 오염물질로서, 주로 언급되는 항목은 미세먼지, 이산화탄소, VOCs 등이 있고, 쾌적도에 관여하는 항목으로는 주로 온도와 습도, 이산화탄소도 언급 됩니다. 이산화탄소 농도는 극단적으로 높은 농도가 아닐경우를 제외하면, 농도가 높아진다고해서 보통 인체에 유해하다고 보지는 않지만, 불쾌감, 졸음을 유발하고, 학습능력을 저하시킨다는 문헌들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이산화탄소 농도를 제어 하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고,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창문을 열어 환기를 하는 자연환기 방식 , Fan 등을 이용한 기계식 환기방식 이 고려가 됩니다. 여름이나 겨울철 환기를 너무 많이 하면 일반적으로 이산화탄소 농도는 낮아져 건강에는 좋아질 수 있지만, 온도와 습도, 에너지효율 측면에서 불리하기 때문에 적당 수준의 환기를 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환기를 하려면 어느정도로 하는것이 적당할까요? 가정에서의 이산화탄소 오염원을 고려한 환기량 설정이 필요합니다. 본 문헌에서는 사람의 성별, 인원, 공간의 크기, 시간의 흐름에 따른 실내 이산화탄소 농도 추이를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

[News Correction] 석면.. 없애? 그냥 둬?

이미지
발암물질인 석면 을 천장 마감재 등으로 사용한 공공기관 건축물들이 석면 제거작업을 하지 않은 채 그대로 사용되고 있어 이용 시민들의 건강을 위협 하고 있다. 기사 원문 링크 주요 기사내용 아울러 "학교에서는 학생들의 건강을 위해 석면 제거 작업이 적극적으로 진행되고 있는데 시립 어린이집에 여전히 석면이 있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며 "시가 시민 및 근무자의 건강과 직결된 공공건물 내 석면 제거 예산을 다른 예산보다 우선 확보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핵심 포인트 "석면, 가만히 두면 안전" "오히려, 해체 작업시 발생할 수 있어 더 위험" 과거 우수한 건축자재로 사용해왔던 석면은 위험성에 대한 인지가 부족하던 시절 거리낌 없이 사용해 왔습니다. 석면 패널에 고기를 구워 먹고, 석면의 해체 작업도 마스크 없이 하던 시절이 많았습니다. 사람들이 잘 모르는 점…석면에 대한 이슈가 세상에 알려졌을 때, 과거 서울대학교 산업보건연구실에서 위해성 평가에 대한 연구 결과를 공유했습니다. 핵심은 위와 같이 가만히 두면 괜찮지만, 해체 작업시에 발생할 수 있어 해체 작업자들은 사람들이 없을 때, 충분한 보호장치를 준비해야합니다. 오랜 세월이 지난 지금도 이런 기사가 나오는 걸 보니 너무 안타깝습니다. Written with StackEdit .

[News Correction] 공기청정기 펫 “펫 모드 ?"

이미지
LG 퓨리케어 360˚ 공기청정기 펫 “펫 모드 통해 털과 먼지 집중 제거한다”고? 기사 주요 내용 사람보다 미세먼지에 쉽게 노출되는 반려동물들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호흡기 관리 필수 LG 퓨리케어 360˚ 공기청정기 펫, 하단 집중 청정 '펫 모드’로 아래쪽 털과 먼지 집중 제거 초강력 탈취 광촉매 필터와 더 강력해진 성능으로 반려동물 배변 냄새와 털 날림 걱정 줄여 미세먼지가 심한 날엔 반려동물의 건강을 위해 반려동물의 외출은 자제하거나 최대한 짧게 산책시키는 편이 좋다. 활동이 줄어 스트레스를 받는다면 가급적 실내에서 할 수 있는 놀이를 통해 부족한 운동량을 채워주면 도움이 된다. 또한 외출한 뒤에는 빗질로 털에 붙은 미세먼지를 털어주거나 목욕을 통해 제거하는 것도 중요하다. 짙어진 외부의 미세먼지는 내부로도 쉽게 유입되기 때문에, 예민한 반려동물의 호흡기를 위해서는 실내 공기질 관리에도 신경 써 주는 편이 좋다. 공기를 깨끗하게 만들어주는 공기청정기는 사람에게도 필요하지만, 반려동물에게 유해한 물질도 함께 걸러내기 때문에 반려인들을 위한 필수가전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반려동물의 특성을 고려해 만들어진 이른바 ‘펫 가전’은 반려인들 사이에서 인기 상품으로 떠오르고 있다. My Opinion 이런 컨셉의 공기청정기 너무 좋아요. 그런데! 바닥에 있는 먼지를 좀 더 잘 잡을 수 있나요? 일반 공기청정기와 다르게 알러지 물질을 더 잘 잡을 수 있나요? 최근의 문헌을 찾아봤을 때 공기청정기의 흡입/토출 방향에 따른 미세먼지, 알러지, 털 등의 성능평가 결과는 존재 하지 않았습니다. 산업공학/공기청정기를 조금 아는 사람이라면, 공기청정기의 흡입구에서의 주변 공기에 대한 영향을 거의 미비하여, 주변의 미세먼지나 털을 더 잘 제거한다는 말이 말이 안됨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거짓이 아니라는 증거가 없다고 거짓이 아닌 것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기사원문

[Opinion] Indoor Air Quality 아는 척하기!

이미지
Indoor Air Quality 아는 척하기! 지금까지 알지 못했던, 알고싶었던, 재밌는 정보들에 대해서 글을 작성하고자 합니다. 실내공기질과 관련된 정말 궁금한 내용들에 대해 정보 요청하시면, 관련 글을 작성하겠습니다! :)